95763
top of page

​소화기 질환

관련 질환

    • 위염

    • 위축성 위염/ 장상피 화생

    • 소화성 궤양

    • 위용종/위암

    • 역류성 식도염

    • 급성 위장관염

    • 과민성 대장염

    • 변비

    • 대장용종/대장암

헬리코박터균

헬리코박터균이란?

헬리코박터균은 위 속에 있는 균으로,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절반 가량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며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입니다.헬리코박터균은 스스로 위산으로부터 보호하는 능력이 있어 위벽에 달라붙어 살아갑니다. 

헬리코박터균 어떻게 감염되나요?

대변에서 나온 균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감염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위액의 역류로 타액과 치아로 올라온 균이 다시 입을 통해 상대방에게 감염될 수 있습니다.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가족 내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들이 있어,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여럿이 수저를 이용하여 음식을 나눠먹는 식습관, 음식을 씹어서 아이의 입에 넣어주는 행위 등이 원인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식사 전이나 화장실 사용 후 손을 깨끗이 씻는 위생 습관을 들이고 가족 간에도 수저는 같이 사용하지 않으며, 국, 찌개 등도 개인 그릇에 따로 덜어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헬리코박터 전염.png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면 어떻게 되나요?

이 균은 위를 보호하는 점액을 줄이고 염증을 발생시켜  위벽을 약하게 만듭니다. 결과적으로 만성 위염, 위 십이지장 궤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만성 위염이 오래되면 일부에서 드물게 위암이 생길 수 있습 니다.  다만, 감염되었다고 반드시 궤양이나 위암이 생기지는 않고 일부에서만 발생합니다.대부분은 특별한 증상이 없으나, 일부에서 위염이나 궤양 으로 인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윗배 통증이나 불편감, 포만감, 소화불량 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인과관계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일으키는 질병

 

  • 만성위염

  • 위궤양

  • 십이지장궤양

  • 위암

  • 위말트림프종

진단/검사

헬리코박터균은 어떤 검사로 알 수 있나요?

• 호흡검사로 진단하는 방법

균이 위 안에 있을 경우 알약을 섭취하면 탄산가스가 생성 되고, 호흡을 통해 이 가스를 검출하여 진단합니다.  제균 치료 후 균이 성공적으로 제거되었는지 확인하는 검사로 정확도가 높습니다.  내시경이 필요 없어 간편합니다.

 

 • 위내시경으로 진단하는 방법

조직을 채취하여 신속요소반응검사(CLO) 키트에 넣어  균 감염 여부를 확인합니다. 정확도가 높으며 신속하기 때문에 많이 시행됩니다.내시경을 이용하여 조직을 채취 하여 특수 염색을 통해 균을 확인 할 수도 있습니다.

특수한 경우에는 직접 균 배양  검사를 통하여 내성여부를 확인 하고 약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 혈액검사로 진단하는 방법

피검사를 통해 균의 항체를 검출합니다. 과거에 감염된 흔적이 남아 있을 수 있어 현재 감염 판단에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치료

헬리코박터균 치료 대상은 어떻게 되나요?

균이 있다고 무조건  치료하지는 않습니다.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하는 상황

  • 위/십이지장 궤양

  • 조기위암 수술이나 내시경 절제술 후

  • 위/십이지장 말트림프종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는 상황

  • 위암의 가족력

  • 위선종의 내시경 절제술 후

  • 일부 위축성 위염/장상피화생

  • 소화불량 등 의사의 판단에 의해 

헬리코박터균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약으로 균을  치료해요, 항생제가 들어있어요.

헬리코박터균 치료가 실패하는 이유는? 

헬리코박터 치료3.png

약을 정해진 용법과 용량에 따라 적절히 복용하지 못하였을 경우 치료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헬리코박터균의 항생제 내성 때문에 복용한 약에 대한 저항성을 가져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가 현재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렇다해도 2차, 3차 제균치료 등의 방법을 통해  95% 이상 에서 치료가 가능합니다.

헬리코박터균 치료때 어떤 부작용이 있나요?

가장 흔히 나타나는 설사, 구역, 구토 등의 위장 장애는 심하지 않다면 위장약을 같이 투여하며 복용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무른변 또는 가벼운 설사 계속 복용하거나 다른 위장약의 도움을 얻어   마지막까지 약을 복용합니다. 

•설사가 악화되는 경우 증상이 심하면 투여를 중지하고 담당의사와 상의합니다. 

약제마다 특수한 부작용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금속성 맛,  알레르기 반응, 흑색변, 소변 또는 대변색 이상, 혀 또는 치아의 변색 등이 있습니다. 부작용이 심한 경우에는 치료를 중단한 후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의한 후에 지속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bottom of page